반응형
안녕하세요. IT 윈도우 킷도우입니다.
CKA 자격증 준비 3탄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이어서 계속해서 4탄 Scheduling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본 내용은 CKA 강의로 유명한 Udemy CKA with practice tests의 내용을 토대로 정리한 것입니다.
Monitoring
이번에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그리고 개체들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쿠버네티스를 통해 자원을 모니터링 한다면 노드 그리고 파드의 cpu, memory일 것입니다. 이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Metrics Server를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설치합니다.
git clone https://github.com/kubernetes-incubator/metrics-server
kubectl create -f deploy/1.8+/
이후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node와 pod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kubectl top node
-> 각 노드의 cpu와 memory 현황 정보 제공
kubectl top pod
-> 각 파드의 cpu와 memory 현황 정보 제공
Logging
다음으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각종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파드의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kubectl logs -f sample-pod
#-f 옵션은 실시간으로 로그를 보는 것이다.
파드에는 여러 개의 컨테이너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해당 컨테이너의 로그만을 특정해서 보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kubectl logs -f sample-pod nginx-container
★킷도우 웹 개발 기초 강의가 오픈됐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